mang_dev
맹꽁거리는 개발자
mang_dev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85)
    • Frontend (2)
      • Next.js (1)
    • Backend (3)
      • GraphQL (2)
    • Book (1)
      • 기타 (1)
    • Old (177)
      • 알고리즘 퍼즐 (1)
      • 백준 (131)
      • 프로그래머스 (0)
      • Codility (15)
      • LeetCode (7)
      • Codewars (1)
      • Codeforces (0)
      • Django (6)
      • React (2)
      • Naver Map Api (3)
      • Web UI (4)
      • Introduction to Cloud (2)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mang_dev

맹꽁거리는 개발자

백준 2589번 보물섬 // Java
Old/백준

백준 2589번 보물섬 // Java

2021. 2. 25. 00:55

문제

보물섬

 

보물섬 지도를 발견한 후크 선장은 보물을 찾아나섰다. 보물섬 지도는 아래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모양이며 여러 칸으로 나뉘어져 있다. 각 칸은 육지(L)나 바다(W)로 표시되어 있다. 이 지도에서 이동은 상하좌우로 이웃한 육지로만 가능하며, 한 칸 이동하는데 한 시간이 걸린다. 보물은 서로 간에 최단 거리로 이동하는데 있어 가장 긴 시간이 걸리는 육지 두 곳에 나뉘어 묻혀있다. 육지를 나타내는 두 곳 사이를 최단 거리로 이동하려면 같은 곳을 두 번 이상 지나가거나, 멀리 돌아가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이 지도가 주어졌다면 보물은 아래 표시된 두 곳에 묻혀 있게 되고, 이 둘 사이의 최단 거리로 이동하는 시간은 8시간이 된다.

보물 지도가 주어질 때, 보물이 묻혀 있는 두 곳 간의 최단 거리로 이동하는 시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보물 지도의 세로의 크기와 가로의 크기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이어 L과 W로 표시된 보물 지도가 아래의 예와 같이 주어지며, 각 문자 사이에는 빈 칸이 없다. 보물 지도의 가로, 세로의 크기는 각각 50이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보물이 묻혀 있는 두 곳 사이를 최단 거리로 이동하는 시간을 출력한다.


풀이

보물섬에서 L이 적힌 칸은 모두 BFS를 통해 탐색을 해주어, 가장 먼 거리를 찾으면 된다.

 

BFS를 사용하는 이유는, 최단 거리로 이동했을 때의 가장 먼 거리를 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M;
	static char[][] map;
	static boolean[][] visit;
	static int answer;

	static int[][] dir = { { 0, -1 }, { 0, 1 }, { -1, 0 }, { 1, 0 } };

	static class Point {
		int x, y;
		int d; // distance

		public Point() {
		}

		public Point(int x, int y, int d) {
			this.x = x;
			this.y = y;
			this.d = d;
		}
	}

	static void bfs(Point p) {
		Queue<Point> q = new LinkedList<>();
		q.offer(p);
		
		for(int i=0;i<N;i++) {
			Arrays.fill(visit[i], false);
		}
		
		visit[p.y][p.x] = true;

		while (!q.isEmpty()) {
			Point cur = q.poll();
			int nextX, nextY;

			answer = answer > cur.d ? answer : cur.d;

			for (int i = 0; i < 4; i++) {
				nextX = cur.x + dir[i][0];
				nextY = cur.y + dir[i][1];

				if (0 <= nextX && nextX < M && 0 <= nextY && nextY < N && map[nextY][nextX] == 'L' && !visit[nextY][nextX]) {				
					q.offer(new Point(nextX, nextY, cur.d + 1));
					visit[nextY][nextX] = true;
				}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ap = new char[N][M];
		answer = 0;
		visit = new boolean[N][M];

		for (int i = 0; i < N; i++) {
			map[i] = br.readLine().toCharArray();
		}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if (map[i][j] == 'L') {
					bfs(new Point(j, i, 0));
				}
			}
		}

		System.out.println(answer);
	}
}

 

https://coupa.ng/ca20Ij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Old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3649번 로봇 프로젝트 // JAVA  (0) 2021.02.23
백준 3109번 빵집 // JAVA  (0) 2021.02.18
백준 1009번 분산처리 // JAVA  (0) 2021.02.18
백준 1451번 직사각형으로 나누기 // JAVA  (0) 2021.02.17
백준 17135번 캐슬 디펜스 // JAVA  (0) 2021.02.17
    'Old/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 3649번 로봇 프로젝트 // JAVA
    • 백준 3109번 빵집 // JAVA
    • 백준 1009번 분산처리 // JAVA
    • 백준 1451번 직사각형으로 나누기 // JAVA
    mang_dev
    mang_dev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