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유명한 제빵사 김원웅은 빵집을 운영하고 있다. 원웅이의 빵집은 글로벌 재정 위기를 피해가지 못했고, 결국 심각한 재정 위기에 빠졌다.
원웅이는 지출을 줄이고자 여기저기 지출을 살펴보던 중에, 가스비가 제일 크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따라서 원웅이는 근처 빵집의 가스관에 몰래 파이프를 설치해 훔쳐서 사용하기로 했다.
빵집이 있는 곳은 R*C 격자로 표현할 수 있다. 첫째 열은 근처 빵집의 가스관이고, 마지막 열은 원웅이의 빵집이다.
원웅이는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파이프를 설치하려고 한다. 빵집과 가스관 사이에는 건물이 있을 수도 있다. 건물이 있는 경우에는 파이프를 놓을 수 없다.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모든 파이프라인은 첫째 열에서 시작해야 하고, 마지막 열에서 끝나야 한다. 각 칸은 오른쪽, 오른쪽 위 대각선, 오른쪽 아래 대각선으로 연결할 수 있고, 각 칸의 중심끼리 연결하는 것이다.
원웅이는 가스를 되도록 많이 훔치려고 한다. 따라서,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을 여러 개 설치할 것이다.
이 경로는 겹칠 수 없고, 서로 접할 수도 없다. 즉, 각 칸을 지나는 파이프는 하나이어야 한다.
원웅이 빵집의 모습이 주어졌을 때, 원웅이가 설치할 수 있는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의 최대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R과 C가 주어진다. (1 ≤ R ≤ 10,000, 5 ≤ C ≤ 500)
다음 R개 줄에는 빵집 근처의 모습이 주어진다. '.'는 빈 칸이고, 'x'는 건물이다. 처음과 마지막 열은 항상 비어있다.
출력
첫째 줄에 원웅이가 놓을 수 있는 파이프라인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풀이
문제를 보자마자 백트래킹을 사용해야할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최대한 많은 파이프라인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위쪽부터 채워나가야 다음 파이프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것이라 생각해, 탐색은 대각선 위, 옆, 대각선 아래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탐색 중 더 이상 갈 수 없는 경우에는 다음 파이프도 같은 위치에 도달했을 때 같은 현상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방문한 칸은 모두 x로 바꿔주었다.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ack;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final static int[][] dir = { { 1, -1 }, { 1, 0 }, { 1, 1 } };
static int R, C;
static char[][] map;
static int answer;
static boolean flag;
static class Pos {
int x, y;
Pos() {
}
Pos(int x, int y) {
this.x = x;
this.y = y;
}
}
static void dfs(int x, int y) {
Stack<Pos> s = new Stack<>();
s.add(new Pos(x, y));
int curX, curY, nextX, nextY;
while (!s.isEmpty()) {
flag = false;
curX = s.peek().x;
curY = s.peek().y;
if (curX == C - 1 && map[curY][curX] == '.') {
answer++;
while (!s.isEmpty()) {
Pos temp = s.pop();
map[temp.y][temp.x] = 'x';
}
break;
}
map[curY][curX] = 'x';
for (int i = 0; i < 3; i++) {
nextX = curX + dir[i][0];
nextY = curY + dir[i][1];
if (nextX < C && 0 <= nextY && nextY < R && map[nextY][nextX] == '.') {
s.add(new Pos(nextX, nextY));
flag = true;
break;
}
}
if (!flag) {
s.pop();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R = Integer.parseInt(st.nextToken());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nswer = 0;
map = new char[R][C];
for (int i = 0; i < R; i++) {
map[i] = br.readLine().toCharArray();
}
for (int i = 0; i < R; i++) {
dfs(0, i);
}
System.out.println(answer);
}
}
'Old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589번 보물섬 // Java (0) | 2021.02.25 |
---|---|
백준 3649번 로봇 프로젝트 // JAVA (0) | 2021.02.23 |
백준 1009번 분산처리 // JAVA (0) | 2021.02.18 |
백준 1451번 직사각형으로 나누기 // JAVA (0) | 2021.02.17 |
백준 17135번 캐슬 디펜스 // JAVA (0) | 2021.02.17 |